위메프·티몬 존재감 어디로?… 올해 반등할까

입력
수정2022.04.19. 오후 3:41
기사원문
연희진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위메프와 티몬이 최근 아쉬운 성적표를 받았다. 사진은 위메프 사옥. /사진=위메프
이커머스 1세대로 불리는 티몬과 위메프가 역성장을 겪으며 치열한 경쟁에서 존재감이 옅어지는 양상이다. 한때 쿠팡과 함께 소셜커머스 3대장으로 불렸던 이들로서는 잇따른 성적이 아쉽다는 평가다.

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위메프와 티몬은 최근 3년 연속 매출 감소에 시달린다. 이커머스에서는 거래액을 성장 지표로 보기도 하지만 매출 역시 무시할 수 있는 지표는 아니다.

위메프의 매출 추이는 ▲2019년 4653억원 ▲2020년 3853억원 ▲2021년 2448억원으로 4000억원대에서 2000억원대까지 감소했다. 티몬은 ▲2019년 1721억원 ▲2020년 1512억원 ▲2021년 1290억원이다.

적자 역시 계속되고 있다. 위메프의 영업손실은 ▲2019년 757억원 ▲2020년 542억원 ▲2021년 338억원, 티몬은 ▲2019년 746억원 ▲2020 631억원 ▲2021년 760억원이다. 그나마 위메프는 적자를 줄여가고 있지만 티몬은 지난해 매출이 감소한 가운데 영업손실은 더 늘었다는 점이 뼈아프다.

다만 위메프의 고민은 정체성이다. 티몬이 ‘콘텐츠 커머스’를 표방하며 투자를 이어가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위메프는 차별점이 눈에 띄지 않는다. 그나마 상생 부분에서 ‘착한 이커머스’라는 이미지는 챙겨가고 있다.

위메프는 지난해 4월 수수료를 업계 최저 수준인 2.9%로 인하했다. 이는 온라인쇼핑몰 평균 수수료 16.7%(공정위 2021년 대규모 유통업자 유통거래 실태조사)의 6분의1 수준이다. 머지포인트 사태 당시 데이터 대조작업을 통해 상품 등록 고객에게도 잔여 포인트에 대해 환불을 진행해 호평을 받기도 했다.

위메프는 올해 손익 개선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매출 감소 요인은 수수료율 축소와 적자폭 감소를 위한 직매입 상품 비중 축소로 분석된다. 지난해 기준 2년 연속 손익 개선에 성공하면서 중장기적인 체질 개선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커머스 1세대' 위메프-티몬 성장 전략은?


티몬은 콘텐츠 커머스로 전환을 꾀하고 있다. 사진은 임요환과 홍진호가 게스트로 출연한 '게임부록' 첫 방송의 모습./사진제공=티몬
티몬은 지난해 상장을 목표로 했지만 이를 무기한 연기했다. 상장 시기가 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실적이 계속 악화하면서 기대감은 낮아지고 있다는 업계의 평이다. 가령 적자가 나도 매출이 커지면 성장성을 내세울 수 있지만 티몬의 지난해 매출은 줄었고 영업손실 또한 커졌다.

변신을 시도한 점은 긍정적이다. 콘텐츠 커머스로의 전환을 꾀하며 내놓은 ‘광고천재 씬드롬’ ‘게임부록’ 등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이에 ▲콘텐츠 에디터 ▲콘텐츠 운영 담당자 ▲콘텐츠 프로모션 디자이너 등 콘텐츠 부문 인력을 대거 채용 중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티몬의 경우 올해 일상 회복에 들어가면서 여행·티켓면에서 반등할 수도 있다”며 “티몬과 위메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이커머스 급성장 흐름 속에서 수혜를 많이 보지 못한 업체라 올해 반전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