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가 퀵커머스 춘추전국시대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배민’ 시발로 ‘쿠팡’ 가세…백화점·대형마트 맞불로 경쟁 가열[주간경향]

‘당일배송과 새벽배송은 잊어라. 1개 주문해도 10분 내 도착하는 퀵커머스(즉시배송)가 대세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와 GS슈퍼마켓의 배달 전용 주문 모바일 앱인 ‘우딜 주문하기’(우딜앱) / 연합뉴스


퀵커머스 경쟁이 폭염만큼이나 뜨겁다. 당일배송과 새벽배송과는 차원이 다른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퀵커머스는 10~15분 이내, 단건의 초소량 물건부터 식료품 등을 고객 집 앞까지 가져다주는 서비스다. 기록적인 폭염과 코로나19 재확산세로 외출을 자제하는 소비자들은 퀵커머스 덕분에 마트나 편의점에 직접 가서 물건을 사는 것보다 더 빠르게 물건을 살 수 있게 됐다. 유통업체들은 경쟁사보다 배송시간을 조금이라도 더 앞당겨 배달 수요를 선점하기 위해 고군분투 중이다.

배민이 시작한 시장, 쿠팡이 치고 들어와 퀵커머스는 2019년 우아한형제들의 배달앱 배달의민족이 가장 먼저 시작했다. ‘B마트’란 이름으로 시작된 이 서비스는 주요 마트 상품을 자체 물류창고에서 보관하다 주문 발생 시 소비자 집 앞으로 배달하는 방식이다. 서울·경기 등 일부 지역에서 1시간 이내로 배달하다 전국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지난해 B마트 매출은 약 1450억원, 주문 건수는 1000만건에 이른다. 이 같은 퀵커머스가 유통업계 최대 화두가 된 데에는 쿠팡이 이 시장을 치고 들어와서다. 쿠팡은 이달 들어 서울 송파구에서 퀵커머스 ‘쿠팡이츠 마트’ 시범운영으로 참전했다. 쿠팡이츠 마트는 최소주문 금액이 따로 없는 대신 배달비 2000원이 붙고 주문하면 15분 안에 배송을 완료하는 서비스다. 이에 반해 B마트는 최소주문 금액 1만원을 채워야 하고 1시간 내 배송을 목표로 한다. B마트의 고객 선택지가 훨씬 넓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에서 이용 가능하고 취급 품목이 7000여개에 이른다. 이커머스 업계 관계자는 “배민과 요기요 및 군소업체들이 영위했던 퀵커머스 동네상권 시장을 쿠팡이 참전하면서 뜨거운 경쟁을 벌이게 됐다”면서 “특히 송파구는 직장인인 1인 가구가 가장 밀집한 요충지인 만큼 쿠팡은 경쟁력을 동원해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커머스의 선전포고에 전통강자도 맞불 이들 업체의 퀵커머스 경쟁은 사실상 대형업체들에 대한 선전포고다. 백화점, 대형마트, 편의점 등 기존 유통공룡이 잠식한 오프라인 채널을 배송속도로 맞붙겠다는 포석이다. 전통 유통기업들도 ‘맞불’을 폈다. 롯데마트와 이마트는 SSM(기업형 슈퍼마켓)을 물류센터로 삼아 ‘퀵커머스’ 전쟁을 직면했다. SSM은 대형마트보다 규모는 작지만 도심 주거지와 근접해 있어 빠른 배송이 원활하다는 특징이 있다. 롯데슈퍼, 홈플러스익스프레스, GS더프레시가 이를 통해 1~2시간 내 배송하는 ‘퀵커머스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이마트는 자사 SSM인 ‘이마트 에브리데이’를 거점으로 퀵커머스를 준비 중이다. GS리테일은 자체 마트와 편의점을 연계한 자체 퀵커머스 플랫폼 ‘우딜 주문하기’를 7월 론칭해 1시간 내 배송을 제공하고 있다. 백화점도 배송속도전에 나섰다. 현대백화점은 업계 처음으로 ‘이동형 물류센터’로 승부를 낸다. 서울 압구정 본점 반경 3㎞ 이내 이동식 물류기지인 트럭 4대를 운행 중인 현대백화점은 수산물, 육류, 채소류 등 신선식품 60여종을 즉시배송하고 있다. 편의점도 퀵커머스에 가세했다. CU도 스마트 결제·주문 서비스 ‘페이코 오더’에 입점하며 배달서비스를 제공한다. hy(한국야쿠르트)도 카카오엔터프라이즈와 손잡고 퀵커머스 시장공략을 준비 중이다. 오아시스마켓도 메쉬코리아와 하반기 내 퀵커머스와 새벽배송 서비스 제공을 예고했다.

소비자 80% “코로나19 이후에도 비대면 소비” 이들 업체가 불나방처럼 퀵커머스 전쟁에 참전하는 이유는 수익성과 성장 잠재력 때문이다. 길어진 코로나19 사태로 쇼핑과 생필품에 대한 ‘즉시배송’ 니즈가 늘고 이를 경험한 고객들의 기대 수준이 오르면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비대면 소비가 지속될 것이란 시각에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19년 11.2% 불과했던 배달앱 이용률이 지난해 19.9%까지 상승하면서 배달서비스가 소매·서비스 시장 내 주요 카테고리로 부상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주요 3개사(우아한형제들·메쉬코리아·바로고)의 매출액 증가율은 평균 74% 기록했다. 서울연구원에 따르면 80% 이상의 소비자가 코로나19 이후에도 현재의 비대면 소비활동을 지속하겠다고 응답했다. 이를 감안해 전문가들은 배달서비스 이용 확대는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했다. 김진우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배달서비스 업체들이 기존 외식 중심에서 식료품, 생필품 등 일반물류로 배달대상을 확대했다”면서 “유통산업 내 배송 경쟁 확대로 10분 안팎에서 길어도 1시간 이내에 생필품을 배달해주는 서비스가 가열될 전망”이라고 했다. 배민에 따르면 세계 퀵커머스 시장 규모도 2030년까지 약 600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일각에선 과열된 경쟁으로 인한 부작용 우려도 제기된다. 출혈경쟁인 퀵커머스가 배달기사 부족과 안전사고 문제를 동반할 것이란 시각에서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양질의 상품보다 속도 경쟁력으로 단기간 시장을 선점하려는 퀵커머스는 고질적인 배달기사 부족 문제를 안고 있다”면서 “퀵커머스가 지속가능한 서비스모델인지는 불투명하다”고 지적했다. 배달 라이더 품귀 현상도 동반된다. 배민은 내달 17일까지 신규 가입하는 라이더들을 대상으로 최초 운행일부터 한달간 시간제 보험료를 전액 지원한다. 쿠팡이츠도 점심·저녁 피크타임 때 미션을 완료하는 배달기사들을 대상으로 하루 최대 5만~6만원대 수수료를 추가로 제공한다.

골목상권 침해 논란도 존재한다. 유통업계가 골목상권까지 파고들면서 지역상권이 위축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커머스업계 관계자는 ”현관문 앞까지 1시간 이내 배달해주는 편리함 때문에 소비자가 동네 편의점보다 퀵커머스를 선호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편의점은 더 이상 유통강자들과의 경쟁에서 안전한 시장이 아니다”고 말했다.

편의점업계 관계자는 “편의점만이 공략할 수 있는 상품(술·담배)이 있기 때문에 현재로선 퀵커머스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편의점주협의회는 지난해 10월 B마트에 이어 요마트가 퀵커머스에 가세하자 “전통적으로 소매 업종이 지켜왔던 골목상권의 붕괴가 예상된다”고 성명서를 내기도 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