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핑' 검색하면 '차박·카라반' 보여준다…네이버가 통합검색→스마트블록으로 가는 이유

입력
수정2022.05.03. 오후 5:59
기사원문
박현준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네이버의 '스마트블록'이 적용된 검색 결과 화면. (사진=네이버 Search&Tech 블로그)


네이버가 통합검색으로 대표되는 자사의 검색 결과를 인공지능(AI)이 적용된 '스마트블록'으로 옮겨가는 것은 사용자가 원하는 결과를 보다 빨리 보여주기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풀이된다.

네이버는 지난해 10월부터 모바일 검색 결과에 스마트블록을 적용하기 시작해 12월부터는 PC로 확대했다. 기존 통합검색은 △지식iN △VIEW △인플루언서 △이미지 △뉴스 등으로 결과를 분류해 보여준다. 스마트블록은 이같은 단위가 아닌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주제들로 구성된 블록 형태로 검색 결과가 제공되는 것이 차별점이다. 예를들면 '캠핑'으로 검색을 하면 △캠핑 준비물 리스트 △캠핑 장비 △카라반 △키즈캠핑장 등의 주제로 구성된 스마트블록이 화면 상단에 노출된다. 이같은 검색결과는 네이버의 AI 기반 검색 기술 '에어서치'가 적용되면서 가능해졌다.

네이버는 3일 온라인으로 '네이버 검색 콜로키움 2022'를 열고 스마트블록을 올해 중으로 모바일과 PC를 합쳐 전체 검색결과의 약 30%까지 확대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유형도 △정답형 △탐색형 △반응형 △발견형 등 4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해 약 300만개 이상의 스마트블록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반응형, 발견형 스마트블록은 새로운 시도다. 반응형 블록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함께 클릭한 문서와 이전 검색이력을 참고한 최적의 검색 이력을 제공하는 형태다. 발견형 블록은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직간접적으로 연관됐거나 사용자가 관심있어 할만한 새로운 검색어나 콘텐츠를 발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최재호 네이버 서치 CIC(사내독립기업) 책임리더는 "입력한 검색어마다 수백만개의 스마트블록을 자유자재로 조합해 수천만명의 사용자에게 서로 다른 검색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일상에서 네이버의 AI 기술력을 체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네이버가 이처럼 스마트블록 확대에 공을 들이는 것은 사용자가 원하는 검색 결과에 보다 빠르게 도달하도록 하면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다. 사용자들은 기존에는 네이버에서 검색을 하면 뉴스·블로그·이미지·동영상 등 통합검색 결과 카테고리 중 원하는 것을 선택했다. 하지만 사용자들이 원하는 검색 결과가 더욱 구체화되면서 기존의 통합검색으로는 여러 차례 찾아 들어가야만 궁극적으로 원하는 콘텐츠를 찾을 수 있게 됐다. 스마트블록을 제공하면 기존처럼 찾아들어가는 과정을 건너뛰어 보다 빠르게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 회사의 설명이다.

최 책임리더는 "스마트블록 일 평균 노출량은 약 2900만건이며 일간 약 400만회 이상 스마트블록으로 제안되는 콘텐츠를 클릭하고 있다"며 "특히 출시 초기 대비 검색결과 내 콘텐츠 소비량이 약 335% 증가하는 등 사용자들이 기존보다 더 많은 콘텐츠를 소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네이버는 현재 연구 중인 새로운 AI 모델 '오션(OCEAN)'도 소개했다. 오션은 사용자의 검색 과정에서 불필요한 단계를 줄이고 최적의 경로를 제안하기 위해 고안된 기술이다. 김용범 네이버 서치 US 치프 사이언티스트는 "오션은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직접 모델링해 상황에 따라 전문화된 어드바이저 역할을 하는 데 필요한 핵심기술"이라며 "사용자의 검색 의도에 따라 지도·쇼핑·예약 등의 서비스로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똑똑한 어드바이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북유럽 인테리어나 30평 거실 인테리어 등을 검색하는 경우 오션에서 학습된 최적의 경로로 '자신의 공간사진 촬영' 등의 추가적인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받는다. 이후 북유럽 인테리어와 어울리는 가구배치 등을 위한 콘텐츠를 추천하는 방식이다. 오션이 네이버의 서비스에 적용될 시점은 미정이다.

김 사이언티스트는 "사용자가 검색하는 영역별로 전문적인 조언이 가능한 오션 기술을 기반으로 네이버가 축적한 대량의 데이터와 에코시스템이 있어야만 가능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IT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