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펫코노미' 잡아라…반려동물 시장, 스타트업도 춘추전국시대

입력
수정2021.08.15. 오전 10:01
기사원문
최태범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MZ세대를 중심으로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사람들이 늘면서 반려동물 관련 소비를 의미하는 '펫코노미(Pet+Economy)' 시장이 산업의 중요한 축으로 떠오르고 있다.

실제로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7년 2조원대였던 국내 반려동물 연관 산업 규모는 올해 3조7000억원대로 성장했고 2027년에는 6조원대까지 커질 전망이다.

반려동물을 가족 구성으로 여기는 '펫팸족', 코로나19(COVID-19)로 인해 집에서 반려동물과 여가를 보내는 '펫콕족', 반려동물과 휴양을 보내는 '펫캉스' 등 각종 신조어가 생기는 현상은 펫코노미의 성장 가능성을 보여준다.

하지만 국내에서 반려동물 시장을 주도하는 기업은 아직 없는 상황이다. GS리테일이 반려동물 관련 기업들에 대한 투자와 지분인수로 펫코노미의 왕좌를 노리는 가운데, 스타트업들도 시장 선점에 속도를 내는 중이다.



글로벌 펫코노미 성장 추세, 반려동물 스타트업 뜬다



[서울=뉴시스]10일 전북 완주군 이서면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도시농업공원 모델 조성지에서 연구원이 강아지와 함께 '반려동물 동반 텃밭'을 산책하고 있다. 이 텃밭은 반려동물의 산책과 후각 활동을 돕는 허브, 화훼류, 반려동물 간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채소류를 심어 조성했다. (사진=농촌진흥청 제공) 2021.06.10.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15일 벤처·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반려동물 관련 사업으로 창업하는 스타트업이 늘고 대형 유통기업들도 이 시장에 뛰어들면서 펫코노미 생태계는 더욱 활성화되고 있다.

반려동물 사업 모델로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에 등극하는 스타트업도 나올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진다. 특히 펫코노미 성장세는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추세라는 점에서 더욱 잠재력이 높다는 분석이다.

미국의 경우 반려동물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 로버(Rover)가 지난 2일 나스닥에 상장하며 10억달러(1조원대) 기업이 됐다. 지난 6월에는 반려견용 장난감·간식 구독서비스를 제공하는 바크박스(Barkbox)의 모회사도 상장에 성공했다.

반려동물 DNA 검사업체 임바크(Embark)는 소프트뱅크로부터 7500만달러(860억원)를 유치했고, 수의사와 원격진료가 가능한 동물병원 모던애니멀(Modern Animal)은 7550만달러(865억원)를 확보하는 등 반려동물 스타트업들의 몸값이 오르고 있다.



반려동물 헬스케어부터 장례까지…펫시장 공략하는 스타트업들



(서울=뉴스1) 조태형 기자 = 6일 오후 서울 강남구 세텍에서 열린 제29회 코리아펫쇼 2021을 찾은 시민들이 반려동물과 함께 다양한 용품을 살펴보고 있다. 2021.6.6/뉴스1
국내에서는 반려동물 쇼핑몰을 운영하는 스타트업 펫프렛즈가 GS리테일과 사모펀드(IMM프라이빗에쿼티)에 1500억원 규모로 매각되는 대형 M&A(인수합병) 사례가 처음으로 나왔다. 한솔인티큐브는 펫푸드 스타트업 스티커스코퍼레이션을 인수했다.

대표적인 반려동물 스타트업인 핏펫, 펫닥 등은 반려동물을 위한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하고 있다. 수의사 등 전문가 자문과 함께 맞춤형 사료를 제공하거나 반려동물 데이터에 기반한 헬스케어까지 제공한다.

펫시터를 중개해 반려동물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 펫트너는 당근마켓에 입점해 이용자 확대에 나섰고, 도그메이트는 까다로운 선별 과정을 거친 '믿고 맡길 수 있는 펫시터'를 강점으로 이용자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이외에도 동물병원이나 시·구청을 방문해야 가능했던 반려동물 등록증 발급을 모바일로 간편화한 페오펫, 반려동물 장례서비스 21그램, 반려동물 보험 상품몰 펫핀스, 반려동물 전용택시 펫미업 등 다양한 서비스로 스타트업들이 펫시장을 공략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스타트업들이 반려동물 시장을 키우고 대기업은 잠재력을 보고 진입하고 있다"며 "식품이나 제품만 판매하는 업체보다는 반려동물 생애 주기에 맞는 헬스케어까지 제공하는 서비스가 경쟁력을 가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